번호 |
|
제목 |
|
날짜 |
56 |
|
DKK-TOA WQC-24 다항목 수질측정기 참고자료 |
|
2011-06-24 |
제이엠 제품 카탈로그 11판 64~65 페이지에 수록된 DKK-TOA사의 WQC-24 다항목 수질측정기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첨부된 파일을 열기/저장하시고 PDF 뷰어 프로그램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55 |
|
전자파측정기 참고자료 |
|
2011-06-24 |
제이엠 제품 카탈로그 11판 602~603 페이지에 수록된 전자파측정기 참고자료입니다.
첨부된 파일을 열기/저장하시고 PDF 뷰어 프로그램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54 |
|
굴절계 참고자료 |
|
2011-06-24 |
제이엠 제품 카탈로그 11판 220~221 페이지에 수록된 굴절계 참고자료입니다.
첨부된 파일을 열기/저장하신 후 PDF 뷰어 프로그램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53 |
|
클래식장비: 베크만온도계 |
|
2011-06-24 |
클래식장비: 베크만온도계
우리가 기억할 수도 없는 아주 오래 전에는, 요즘과 같이 단순히 건물 지하로 내려가 최신화합물에 대해 핵자기공명 또는 질량스펙트럼을 실시할 수 없었습니다. 원소분석을 통해 원소의 구성을 알 수는 있었으나, 분자의 구조에 대해서는 추측에 근거하거나 논쟁에 가담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만일 독자가 유기화학자였다면, 분자를 일일이 분해시키고 화합물의 기능적 집합구조를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식별이 가능한 조각으로 만들었을 것입니다. 만일 옛날 유기화학자들이 이런 작업을 고려해봤다면, 아마도 이를 반합성작업이라 불렀을 것입니다. 현재는 엑스레이장비를 이용하여 단 수시간 내에 분자구조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허나 혹자는 ‘용매의 분자구조가 엑스레이를 통해 찾아낸 구조와 동일한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라는 도전적인 질문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시대마다 무기화학박사들 사이에서 대중적인 질문이 되었습니다.
이 질문의 정답 중 하나는 용매의 분자량을 재는 것이며, 이 방법은 라울의 법칙이 명쾌하게 증명하는, 전통적이긴 하나 종종 간과되는 방법입니다. 모든 학도들도 알고 있듯이 용매의 증기압은 용해된 용질이 존재함으로 인해 감소됩니다. 이 섬세한 과정은 용질농도의 역할로 인해 용매의 융점과 빙점에 작은 변화에도 현혹됩니다. 이러한 변화들을 측정하여 용질의 분자량을 계산하는 것은 분자들이 용매 안에서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초석이 됩니다. 허나 문제는 관련된 미량의 온도를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있으며, 일반온도계를 가지고 정밀측정을 하기에는 온도변화가 너무 작습니다.

엔테르 에른스트 오토 베크만 (1853-1923)
독일화학자. 1886년에 ‘베크만전위’를 발견하였으며,
미량의 온도변화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베크만온도계를 발명함.
엔테르 에른스트 오토 베크만 (1853-1923)은 칼로 유명한 마을인 독일의 졸링겐에서 태어났습니다. 염료제작사의 아들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화학이라는 학문에 익숙했습니다. 그는 유명한 분석학자인 프레제니우스와 해르만 콜베와 함께 공부했습니다. 그가 케톤으로부터 얻은 옥심을 연구하던 중 Lewis산이 존재할 때 옥심이 아미드로 전위하는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했고, 이는 환식케톤을 링으로 확장한 락탐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방법이었습니다. 이 화학반응은 그의 이름을 따 ‘베크만전위’로 칭해졌습니다.
허나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였고, 베크만은 (비록 틀리긴 했지만) 자신이 중합체를 고립시키는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라울의 증기압에 관한 업적은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를 위해 베크만은 정교한 온도측정이 가능한 미분온도계를 독창적으로 발명했습니다.

베크만 온도계
베크만온도계를 근거리에서 봤을 때는 일반 대형 온도계와 별반 차이가 없게 생겼습니다. 이 온도계는 일반적으로 약 40㎝ 길이로 되어있습니다. 하단의 대형수은저장소는 얇은 유리관이 0.01℃ 간격이며, 총 6℃ 범위의 눈금을 따라 올라갑니다. 이 유리관은 0℃에서 150℃ 범위의 눈금이 반대로 표기된 두 번째 눈금을 따라 S자 형태의 고리형태로 구부러졌습니다. 하단저장소 및 상단고리부분 두 군데 모두 수은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관찰했을 때는 온도계가 손상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허나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온도계의 상단부분은 온도계에 관한 한 절대적인 요소로서, 각기 다른 온도범위에서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온도계의 수은의 양을 조절하게 해주는 저장소입니다. 먼저 하단에 위치한 저장소를 가열시켜 수은의 두 줄기를 결합한 후, 온도를 측정할 용매의 빙점에 가까워질 때까지 열을 식힙니다. 이 때 손바닥을 이용하여 빠른 손놀림으로 온도계 상단부를 쳐서 유리관의 S-커브에 연결된 수은줄기를 끊어버립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용매의 융점에 비록 0.01℃의 미세한 변화가 있다 해도, 이에 대응하여 수은의 상하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극소량만이 잔존하게 됩니다.
미량의 온도 차를 측정하는 가능성은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시스템을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폴리머는 굉장한 분자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카르복시산은 무극성용해에서 이합체로 존재하지만 Grignard 시약과 유기리튬과 같이 불안정하거나 외래종인 경우, 용매 또는 온도가 변했을 때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연약한 구조의 올리고머로 확인되었습니다.
베크만은 이후 온도측정과 사변유기반응에 대한 실험을 계속하였습니다. 그의 마지막 논문은 나트륨과 벤조페논의 반응에 대한 것이었으며, 이는 용매증류기의 양호상태를 신호하는 청색케틸을 만드는 놀라운 결과를 낳았습니다. 허나 이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해 사용되는 키트에 대한 얘기는 다음 기회에 하겠습니다.
안드레아 셀라는 현재 영국의 런던대에서 무기화학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본문출처: http://www.rsc.org/chemistryworld/Issues/2007/December/ClassicKitBeckmannThermometer.asp)
|
52 |
|
비등점 측정 |
|
2011-06-24 |
비등점 측정
비등점을 측정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으며, 이는 측정 시 필요한 시료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요구량이 작은 순서에 따른 측정방법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증류
2. 소형 스케일
3. 극소형 스케일
1. 증류

본 측정방법은 대체적으로 정확하고(±0.5℃) 다량(>5㎖)의 시료를 사용하며 소요시간이 가장 깁니다. 증류의 장점은 시료를 자동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결국 시료가 증류될 때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증류과정은 시간이 제법 소요되는데 이는 온도측정을 용이하게 합니다. 증류 전 외압에서 증류플라스크와 스틸헤드를 시료의 증기로 채워 넣어야 하는 양이 있기 때문에, 다량의 시료가 요구됩니다.
2. 소형 스케일 비등점
본 측정방법은 대체적으로 정확하고 (±0.5℃) 소량(약 2㎖)의 시료를 사용합니다.
이는 소량의 시료를 소형시험관에 넣은 후 비등하는 방식입니다. 시험관 내부에 존재하는 시료액의 양이 많으면 증기의 온도는 비등점보다 뚜렷하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비등점은 증기가 온도측정부에서 응결될 때의 최고 온도와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측정방법 1. 비등석을 소형시험관에 넣습니다.
2. 약 1.3㎝ 정도의 높이의 시료액을 추가합니다.
3. Fume Hood 에서 거치대의 집게로 고정합니다.
4. 수은측정부가 수면으로부터 약 1.3㎝ 에서 2.5 ㎝ 높이에 위치하도록 시험관에 온도계를 넣습니다.
5. 온도가 일정해질 때까지 조심스럽게 가열합니다.
6. 표시된 온도를 측정합니다.
참고: 온도는 보통 완전하게 안정되지 않고 (약 0.3℃ 범위 내에서) 기복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평균온도를 비등점으로 간주합니다.
시료가 발화했을 때 많은 종류에 액체들은 가연성이며, 따라서 시험관에서 배출되는 증기는 발화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보통 큰 분젠가스버너를 사용할 때, 또는 가열 시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못할 때입니다. 허나, 가연물질의 양이 매우 적으므로, 발화 시 차분하게 분젠버너를 옮기고 Fume Hood 를 닫은 후 자연적으로 소화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2. 극소형 스케일 비등점
본 측정방법은 증류 및 소형 스케일보다 정확하며(±0.2℃) 소량(약 2㎖)의 시료를 사용합니다.
이는 밀봉된 쪽을 시료액에 투입한 모세관 내 증기압을 극복할 수 있는 비등 시료액의 최대외압에 도달했을 때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증기는 응결되며 시료액이 모세관 내부로 상승합니다. 보통 비등점 측정기는 시료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벨 모세관을 제작하는 방법
1.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여 비등점관을 약 1.2㎝ 높이의 시료로 채웁니다.
2. 긴 모세관 부분을 이용하여 벨 모세관을 시료액에 담급니다. 긴 모세관이 위에 있으면 벨 모세관이 지속적으로 잠길 수 있습니다. 시료액이 벨 모세관을 채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시료액이 담긴 관을 비등점 측정기에 넣습니다. 천천히 시료를 가열하면 (분당 약 2℃의 속도) 기포가 (가스팽창으로 인해) 뒤집어진 벨 모세관으로 배출될 것입니다.
4. 가열을 계속하면서 기포가 지속적으로 벨 모세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원래는 증기생성의 결정핵생성점은 모세관의 가장자리이며, 현재 내부는 시료의 증기로 대부분 차있습니다)
5. 가열기를 끕니다.
6. 시료액이 뒤집어진 벨 모세관에서 상승을 시작하는 온도를 확인합니다. (이 상태에서 비등점 아래로 온도가 떨어지면, 증기는 액체로 응결되며 내부가 액체로 차기 시작합니다.)
7. 온도를 기록합니다.

|
51 |
|
[기사] WHO, 라돈 행동 조치 경계 수준 감소 재촉 |
|
2011-06-24 |
WHO, 라돈 행동 조치 경계 수준 감소 재촉
흡연자들이 폐암 진단을 받았을 때 우리 중 다수는 어떻게 그런 잔인한 질병을 앓을까 하며 안타깝게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그들이 가정에서 라돈 가스에 노출된 것이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폐암환자의 3 ~ 14%는 가정에서 낮은 (또는 중간) 농도의 라돈에 노출된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WHO는 단지 국가들이 약 20년 전 미국환경보호국(EPA)에서 설정한 기준치 미만으로 라돈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적 조치를 설정하기만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EPA에 따르면, 만약 가정에서 측정했을 때 라돈 농도가 ℓ 당 4pCi 이상일 경우, 재측정을 실행하고 나서, 라돈 농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일 측정 시 ℓ 당 2pCi의 농도일지라도,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EPA의 방사능 및 실내공기분야의 운영책임자인 톰 켈리(Tom Kelly) 씨는 WHO의 새로운 권고기준(유럽의 표기 방식으로 m3 당 100Bq)은 미국 표기 방식으로 ℓ 당 2.7 pCi에 상응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EPA에서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정수를 쉽게 기억한다는 부분적인 이유로, 4(pCi) 수준의 권고조치에 대한 변경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화 인터뷰에서 켈리는 "라돈은 안전 수위가 없습니다…. 2.7pCi 미만에서도 위험이 많으며, 4pCi 미만에서도 (또한) 위험이 많습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라돈의 위험성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가정에서 라돈을 측정하고 나서,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라돈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라돈은 무서운 물질입니다."라고 켈리가 말했습니다. "2천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매년 폐암진단을 받습니다. 이 중 많은 경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는 미국 내 가정집을 측정했을 경우, 약 15% 정도가 높은 수준의 라돈이 감지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라돈가스는 토양 내 우라늄의 붕괴로 말미암아 발생합니다. 무색, 무취이며, 바닥 또는 벽의 균열을 비롯하여 기름통 펌프 및 배수구의 슬래브 통로를 통해 유입될 수 있습니다.
철물점에 가면 자가 라돈시험장비를 약 $10 정도에 살 수 있습니다. "이런 시험장비는 간단하면서도 매우 유용한 근사치를 제공합니다."라고 켈리는 말했습니다. 만일 라돈이 감지되었다면, 전문가를 통해 더욱 정밀한 측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4(pCi)는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켈리는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선선한 계절에 밀폐된 집안에서 습도가 낮을 때 측정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온도 및 습도가 측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만일 라돈이 검출되었다면, 대부분은 건물의 열린 곳을 차단하고 나서, 특히 지하층일 경우, 환기장치를 작동하여 라돈 농도를 급격히 낮출 수 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엘리자베스 랏지(Elizabeth Razzi) 기자 | 2009년 9월 24일 오전 6:00 (동부 표준시)
원문: http://voices.washingtonpost.com/local-address/2009/09/world_health_organization_says.html |
50 |
|
측정 데이터 분석 |
|
2011-06-24 |
18. 측정 데이터 분석
측정 데이터 분석 요령
모든 측정과 분석 후 얻어진 데이터가 얼마나 신뢰도가 있는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만일 측정 데이터가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라면 사실상 데이터로서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 정밀도는 2개 이상의 반복 측정 데이터 또는 동일한 측정을 반복하여 얻은 측정 데이터들간의 일치여부를 나타낸다. 즉 정밀도는 반복된 측정 데이터를 얻어내어 그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정확도는 측정이 얼마나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낸다. 모든 측정에는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 정확한 값(참값)을 얻기란 매우 어렵다. 동일한 측정 방법, 동일 측정기로 여러 사람이 측정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기 어려운 것은 정확도는 상대적인 변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오차 1. 정밀도가 높은 측정 데이터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주로 통계적인 표준편차, 가변도, 변동계수 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정확도는 상대오차와 절대오차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2. 상대오차는 {(Xm-Xt)/Xt}×100%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며, 절대오차는 (Xm-Xt)로 나타낸다. 이 때 Xm=측정치이며 Xt는 참값이다. 상대오차 및 절대오차는 - 또는 + 부호의 값을 갖게 된다. 3. 오차에는 불가측오차(Er, 우발오차)와 가측오차(Ex, 계통오차)로 구분되며 반복측정의 평균오차는 이 두 오차의 합으로 표시된다.(Ea=Er+Es) 4. 불가측오차는 동일 시료에 대한 측정을 반복할 때 같은 측정값이 아닌 서로 다른 측정값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오차는 예측할 수 없는 오차로 오차의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급적 많은 측정 데이터를 가지고 평균치를 구해야만 참값에 가까운 측정값을 얻을 수 있어 자연적으로 많은 노력과 측정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5. 가측오차는 동일 방법으로 반복 측정을 할 경우 발생하는 오차로 어느 정도는 명확히 오차의 원인을 갖고 있으며, 주로 측정기기 및 측정자, 측정방법이 주요 원인인 경우이다. 측정기기 오차는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전압 변동, 잡음, 주위 환경 변화)과 마모 및 부식 등 시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대부분으로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측정자(개인) 오차는 측정자의 판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차로 개인의 추정과 편견에 의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측정 개인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는 주기적인 교육과 올바른 측정 습관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PC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개인적 오차를 줄이고 있는 추세이다. 측정방법에 의한 오차는 측정 대상물의 상태 및 오염과 간섭 요인 또는 불 분명한 기준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어 오차 원인을 분석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측정 방법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미 검증된 측정방법으로 측정해야 하며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을 갖고 있어야 하고 전문적인 측정 기술이 확보되어 있어야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측정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 측정 후 일반적인 경우 단순 기록만으로 측정을 완료하고 측정자의 판단에 따라 측정결과에 대한 평가 및 판정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정확한 평가 판정을 위하여는 한걸음 더 나아가 통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판정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가장 기본적이고 쉬운 통계처리 방법을 참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1. 측정값의 계산법 : 측정값 중에서 가장 큰 오차를 가진 측정값의 자릿수에 맞추어 계산한다. 2. 유효 자리의 처리법 : 유효숫자 n 단위로 환산하는 경우 또는 소수점이하 n단위로 환산하는 경우는 아래의 방법을 적용한다.(유효숫자의 끝자리 수는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① (n+1)자리 이하의 수치가 5보다 작으면 버린다.……(a) ② (n+1)자리 이하의 수치가 5보다 크면 올린다. ……(b) ③ (n+1)자리 이하의 수치가 5이고 n자리의 수가 0, 2, 4, 6, 8일 때는 버린다. ④ (n+1)자리 이하의 수치가 5이고 n자리의 수가 1, 3, 5, 7, 9일 때는 올린다. 단, (n+1)자리 이하의 수에서 반올림한 수치를 알고 있는 경우는 (a), (b)의 방법에 따른다. 또한 유효자리 처리는 단 한번만 해야 한다. 3. 평균값과 오차 계산 및 표준 편차 ① 평균값:M=(A1+A2+A3+A4……An)/n *(A:측정값, n:측정 횟수) ② 평균값에 대한 평균제곱오차 ε(%) = d12+d22+d32……dn2 n(n-1) * 가장 확실한 값:M±ε *(d:측정값과 평균값의 차(d=An-M), n=측정횟수) ③ 평균값에 대한 확률 오차 γ(%) = 0.6745 d12+d22+d32……dn2 n(n-1) * 가장 확실한 값: M±γ 또는, γ(%)=0.6745×ε *(d=측정값과 평균값의 차(d=An-M), n=측정 횟수, ε:평균제곱오차) ④. 표준편차(편차가 작을수록 정도가 높다.) (A1-M)2+(A2-M)2+(A3-M)2……(An-M)2 S= n *(A1……An:측정값, M:평균값, n:측정횟수) ⑤ 측정 데이터 상관 관계 정리 서로 상관 관계에 있는 2개의 측정치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상관 관계를 방정식(y=ax+b)으로 표시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이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 최소 자승법 a = Σx2Σy-ΣxyΣx b = nΣxΣy-ΣxΣy nΣx2-(Σx)2 nΣx2-(Σx)2 *Σx:(x1+x2……xn), Σy:(y1+y2……yn), Σx2:(x12+x22……xn2), Σy2:(y12+y22……yn2), Σxy:(x1·y1)+(x2·y2)……(xn·yn) (n:측정회수) ㉡ 평균법:측정표의 측정값을 중간에서 둘(n1, n2)로 나누어 계산에 적용하여 a, b를 구한다. n1…Σyn1=aΣxn1+n1b n2…Σyn2=aΣxn2+n2b *Σxn1:x1+x2+x3, Σxn2:x4+x5+x6 *Σyn1:y1+y2+y3, Σyn2:y4+y5+y6 *n1, n2:해당 군의 측정값 개수 *x:측정조건, y:x의 조건하에서 얻은 측정값
※기타 상세한 자료는 계측 기술, 통계처리, 분석방법 등의 기술 서적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49 |
|
경도 측정방식, 단위환산표 |
|
2011-06-24 |
17. 경도 측정방식, 단위환산표
경도라 하는 것은, 어떤 일정한 ball을 사용하여 일정한 하중으로 재료의 표면을 압입할 때 나타나는 국부적인 저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적 및 소성적 저항이 그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게 된다. 측정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로는 ① 압입 경도측정(Indentation Hardness Test) ② 긋기 경도측정(Scracth Hardness Test), ③ 반발 경도측정(Rebound Hardness Test)를 들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압입 경도측정으로서 다음과 같이 대표적인 4가지가 있다.
1. 브리넬 경도기 - 압자 : 동구Ø5㎜ 또는 10㎜) - 하중 : 500㎏ 또는 3000㎏, 압입자국의 지름이 동구지름의 0.2~0.5배가 되도록 설정한다. - 경도표시법 : HB = P (㎏/㎟) π×D×{ D- D2-d2 } 2 - 시편 : 두께 > 압입자국 깊이의 10배, 폭 > 4d, 측정점 - 사이의 거리 > 4d, 측정점의 테두리로부터의 거리 > 2d - 특징 : 큰 시편에 적용되며, 평균값을 얻을 수 있어 표면의 영향이 크지 않다.
2. 로크웰 경도 - 압자 : 1/6″동구(B), 120° diamond cone(C와 A) - 하중 : 예비하중 10㎏, 주하중 60㎏(A), 100㎏(B), 150㎏(C) - 경도표시법 : HRA, HRB, HRC, 예비하중 → 주하중 → 예상하중으로 하였을 때의 압입자국 깊이의 역수(1/500㎜에 1눈금) - 특징 : 신속하며, 측정하는 사람에 따른 오차가 적으며, 시편이 작고 밀도가 크다.
3. 비커스 경도 - 압자 : 136° diamond pyramid - 하중 : 1㎏~120㎏(현미경 계측계의 눈금이 200~500사이에 오도록 한다.) - 경도 표시법 : Hv = 하중 = 1.854P (㎏/㎟) - 압입자국 이표면적 L2 - L : 압입자국의 대각선 평균길이(㎜) - 특징 : 시편이 작고, 적용할 수 있는 경도의 범위가 넓다.
4. 미소 경도 ① Micro-Vickers경도 : Vickers 경도의 하중을 10㎏~1㎏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으로서, 미소 경도시편, 표면적, 조직에 상당하는 미소부분의 경도 측정이 가능하다. ② Knoop 미소 경도 : 경도계는 Micro-Vickers경도계와 병용할 수 있다. - 경도 표시법 : Hk = P = 14.2P A L2 - 특징 : 측정 감도가 높고, 표면적, 박판 등의 경도 측정에 좋다.
경도 단위 환산표 ※대략적인 계산치임 (탄소강 및 합금강기준)
Vickers Hardness |
Brinell Hardness |
Tensile strength |
Rockwell Hardness |
(F=>98n) |
30n/㎟ |
N/㎟ |
HRB |
HRC |
HRA |
80 |
76 |
255 |
|
|
|
90 |
85.5 |
285 |
48 |
|
|
100 |
95 |
320 |
56.2 |
|
|
110 |
105 |
350 |
62.3 |
|
|
120 |
114 |
385 |
66.7 |
|
|
130 |
123 |
415 |
71 |
|
|
140 |
133 |
450 |
75 |
|
|
150 |
143 |
480 |
78.6 |
|
|
160 |
152 |
510 |
81.7 |
|
|
170 |
162 |
545 |
85 |
|
|
180 |
171 |
575 |
87 |
|
|
190 |
181 |
610 |
89.5 |
|
|
200 |
190 |
640 |
91.5 |
|
|
210 |
199 |
675 |
93.5 |
|
|
220 |
209 |
705 |
95 |
|
|
230 |
219 |
740 |
96.7 |
|
|
240 |
228 |
770 |
98.1 |
20.3 |
60.7 |
250 |
238 |
800 |
99.5 |
22.2 |
61.6 |
260 |
247 |
835 |
(101) |
24 |
62.4 |
270 |
257 |
865 |
(102) |
25.6 |
63.1 |
280 |
268 |
900 |
(103) |
27.1 |
63.8 |
290 |
276 |
930 |
(104) |
28.5 |
64.5 |
300 |
285 |
965 |
(105) |
29.8 |
65.2 |
320 |
304 |
1030 |
|
32.2 |
66.4 |
340 |
323 |
1095 |
|
34.3 |
67.6 |
360 |
342 |
1155 |
|
36.6 |
68.7 |
380 |
361 |
1220 |
|
38.8 |
69.8 |
400 |
380 |
1290 |
|
40.8 |
70.8 |
420 |
399 |
1350 |
|
42.7 |
71.8 |
440 |
418 |
1420 |
|
44.5 |
72.8 |
460 |
437 |
1485 |
|
46.1 |
73.6 |
480 |
(456) |
1555 |
|
47.7 |
74.5 |
500 |
(475) |
1630 |
|
49.1 |
75.3 |
550 |
(532) |
1810 |
|
52.3 |
77.0 |
600 |
(570) |
1995 |
|
55.2 |
78.6 |
650 |
(618) |
2180 |
|
57.8 |
80 |
700 |
|
|
|
60.1 |
81.3 |
800 |
|
|
|
64 |
83.4 |
900 |
|
|
|
67 |
85 | |
48 |
|
용액의 전도도값 |
|
2011-06-24 |
용액의 전도도값
품 명 |
전 도 도 |
순수 |
0.055 ㎲/㎝ |
증류수 |
0.5 ㎲/㎝ |
보일러용수 |
1.0 ㎲/㎝ |
깊은산의약수 |
1.0 ㎲/㎝ |
깨끗한 수돗물 |
50 ㎲/㎝ |
일반식수(최대치) |
1055 ㎲/㎝ |
0.01N KCI 용액 |
1409 ㎲/㎝(전도도 표준) |
바닷물 |
53 ㎳/㎝ |
10% NaCH |
355 ㎳/㎝ |
10% H2SO4 |
432 ㎳/㎝ |
31% HNO3 |
865 ㎳/㎝ | |
47 |
|
매질의 음속전달속도 |
|
2011-06-24 |
매질의 음속 전달속도 (m/sec)
품 명 |
최저 |
최고 |
평균 |
철 |
5840 |
5890 |
5870
|
철(주물) |
3510 |
5590 |
4550 |
스텐레스(304) |
5740 |
6070 |
592 |
스텐레스(316) |
5660 |
5740 |
5720 |
A1합금(2014) |
6320 |
6350 |
6350 |
A1합(2024+T4) |
― |
― |
6250 |
구리 |
― |
― |
4650 |
황동 |
― |
― |
4370 |
청동 |
― |
― |
3530 |
은 |
― |
― |
3580 |
주석 |
― |
― |
3330 |
아연 |
― |
― |
4140 |
텅스텐 |
― |
― |
5330 |
물 |
1470 |
1520 |
1500 |
공기 |
― |
― |
330 | |